교수 출신이 아닌 유명 인사를 총장으로 모셔오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다.주간조선(1924호)은 근래 들어 이와 같은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명 인사의 지명도와 인맥, 경륜을 학교 발전에 활용하려는 각 대학의 속셈과 대학 총장이라는 명예직을 경력 계발에 써먹으려는 개인의 계산이 맞아떨어지는 데서 생겨난 현상이라는 것이 주간조선의 분석이다.주간조선에 따르면 최근 비 교수 출신 유명 인사 총장을 영입한 대표적인 대학으로 서강대가 손꼽힌다. 지난 45년간 신부가 총장직을 맡아 온 서강대는 고심 끝에 관례를 깨고 총장 자리를 외부에 개방해, 지난해 7월 전경련 부회장 출신 손병두씨를 총장으로 영입했다. “재임 기간에 보수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해 주목을 받은 그는 취임 1년 만에 260억원 모금, 410억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했다. 지난 8년간 서강대가 유치한 모금액이 100억원이라는 점을 미루어볼 때 대단한 실적이다. 주간조선은 전진 장관을 총장으로 모셔온 대학은 의외로 많다고 전했다. 지난해 10월 광운대는 이상철 전 정보통신부 장관을 총장으로 영입했다. KT 사장 경력이 있는 IT 전문가와 이 분야에 강한 광운대의 비전이 맞아떨어진 셈이다. 이 총장은 취임 후 IT대학과 글로벌 대학이라는 청사진을 그리며 기업과 대학이 협력할 수 있는 모델을 구상하고 실천에 옮겼다. 단국대는 지난해 5월 권기홍 전 노동부 장관을 총장으로 영입했다. 권 총장은 10년 가까이 표류하고 있는 수지 신캠퍼스 이전문제를 재단 이사장과 함께 풀어가며 올 4월부터 공사를 재개했다. 지난 9월 1일에는 오명 전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이 건국대 총장으로 취임했고, 지은희 전 여성부 장관도 올해 3월 덕성여대 총장에 취임했다. 오 총장은 건설교통부 장관과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재임기간에 보여 준 탁월한 리더십에, 지 총장은 폭넓은 인맥과 강한 추진력에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장관 외의 관료 출신도 적지 않다. 정통 관료 출신으로 민선 지사를 3차례나 지낸 이의근 전 경북지사는 9월 12일 경북 경산의 대신대 총장으로 취임했고, 김광림 전 재경부 차관은 9월 1일 충북 제천의 세명대 총장에, 정기언 전 교육부 차관보는 7월 전남 나주의 동신대 총장에 각각 취임했다. ◆저항시인 황지우씨 예술대 총장시인이 총장으로 변신한 대학도 있다고 주간조선은 전했다. 1980년대 대표적인 저항시인으로 불리는 황지우씨는 올해 2월 한국종합예술대학교 총장에 취임, 예술 교육에 새바람을 불어 넣고 있다. 관리자로 변신한 그는 미술·영화·연극 등 예술 분야끼리는 물론 인문학과 예술, 예술과 과학이 왕성하게 교류하는 ‘융합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주간 조선에 따르면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 경영에도 민간 기업 마인드가 중시되고 있어 CEO 등 외부 출신 유명 인사를 대학 총장으로 영입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