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환율·유가 탓 2.1%P 하락...유형자산 증가율 둔화, 투자 부진
환율 하락과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올 1분기 상장·등록법인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조업의 유형자산 증가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둔화돼 기업들의 투자 부진이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15일 한국은행이 1525개 기업들을 상대로 조사한 ‘2006년 1분기 기업경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8.5%로 지난해보다 1.7%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의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7.7%로 2.1%포인트나 하락했다. 매출액 가운데 수출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의 경상이익률은 7.1%로 지난해 동기보다 0.3%포인트 하락한 데 비해 내수기업의 경상이익률은 13.4%에서 8.6%로 4.8%포인트나 하락, 내수기업의 수익성 악화 정도가 더 심했다. 한은은 “1분기의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동기보다 4.4% 하락하고 두바이유를 기준으로 한 원유가격은 40.7%나 급등한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요인”이라고 설명했다.제조업체 가운데 경상이익률이 0% 미만인 적자업체 비중은 26.8%로 지난해 동기의 23.7%보다 더 커졌으며 경상이익률 20% 이상인 기업의 비중은 9.5%에서 6.7%로 줄었다. 이처럼 제조업의 수익성이 악화됨에 따라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인 이자보상비율도 지난해 1분기 746.7%에서 올해는 546.1%로 무려 200.6%포인트나 급락했다.◆매출액 증가율 2.6%P 상승기업의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은 6.9%로 지난해 동기보다 2.6%포인트 상승했으며 제조업의 매출액 증가율도 1.2%포인트 높아진 6.1%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조업의 유형자산증가율은 1.7%로 지난해 동기 1.9%보다 둔화됐으며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41.2%에서 40.9%로 떨어졌다.유형자산 증가율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속제품이 3.3%, 전기·전자가 2.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여타 업종은 저조한 수준을 나타내 제조업의 투자가 일부 업종에만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