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체 기관사 661명 투입 · 서울 시내버스 운행구간 연장
한국철도공사 노조가 3월 1일 새벽 1시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정부는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 수송대책에 착수했다. 실제 파업에 돌입할 경우 건설교통부는 우선 비노조원과 군인 등 대체 기관사 661명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 경우 평상시와 비교했을 때 KTX 34%, 지역 간 여객열차 16%, 수도권 전철 39%, 화물열차 18% 등 전체적으로 31% 수준의 운행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 중앙노동위원회의 검토 결과, 직권중재 결정이 나지 않으면 합법적 파업이 되므로 대체 인력을 투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중노위는 국민의 일상생활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파업 시 직권중재에 회부한다는 방침을 밝혀온 바 있어 합법적 파업이 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건교부는 대체 인력 투입으로 채우지 못하는 교통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버스와 항공기 등 다른 교통수단의 수송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가장 혼란이 예상되는 수도권 전철 운행구간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 26개 노선 649대를 시 경계 밖까지 연장 운행토록 하고, 수도권 시내ㆍ광역ㆍ마을버스 운행 횟수를 하루 3977회 늘리기로 했다. 또 교통상황에 따라 전세버스 2283대를 운행해 교통 혼잡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공무원 출근 한시간 늦추는 방안도이와 함께 택시 부제와 공공기관 승용차 10부제를 일시 해제하는 한편, 수도권 지역에 한해 공무원 출근 시간을 오전 9시에서 10시로 한 시간 늦추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지역 간 운행열차 수요를 위해서는 고속버스와 항공기의 여유 좌석을 최대한 활용하고, 필요에 따라 예비 버스 198대, 693회를 늘려 운행할 계획이다. 지역 간 열차는 평상시 빈 좌석 비율이 53%에 이르는 고속버스가 수요를 대부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철도 화물의 경우 하루 44만 톤에 이르는 화물자동차 여유 수송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건교부는 정부 대책만으로는 교통난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출퇴근 시간대 심한 혼잡이 예상되므로, 지자체와 함께 승용차 함께 타기, 통근버스 이용, 가까운 거리 걷기 등 시민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했다. 한편 철도공사 노사는 28일까지 계속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나 인력 충원과 해고자 복직, KTX 여승무원 정규직 전환 등 쟁점사항에 대한 양측 간 이견이 커 막판 타결 가능성은 희박한 상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