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국사 · 세계사 포함 역사 과목 신설
고교생에 대한 근현대사 교육이 대폭 강화된다. 일본의 교과서 왜곡, 일본의 동북공정 등 인근국가들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2일 고교 1학년의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고등학교에 ‘고등학교 국사 근현대사 교수학습자료’를 배포했다. 내년부터는 교육과정 부분개정과 교과서 수정보완을 거쳐 정식으로 근현대사 내용을 반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현재 중등 사회교과에 포함돼 있는 국사와 세계사를 분리해 ‘역사’ 과목으로 통합하고, 고교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역사교육 강화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교육부는 고교생의 근현대사 교육 강화가 “일본·중국의 역사왜곡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제화 및 동북아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내적 역량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고교 1학년 국사는 ‘전(前) 근대사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어, 2~3학년에서 선택과목인 한국근현대사를 선택하지 않으면 고등학교 단계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배울 기회가 사실상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근현대사 학습자료, 무엇을 담았나 교사용 자료인 ‘한국근현대사의 이해’에는 개화기 근대 개혁의 논쟁을 비롯해 일제 식민통치의 특징, 해방 이후 한국사의 전개과정, 한국 근현대사에 나타난 생활문화의 변화, 한국 근현대사 사료의 이해와 활용 등을 담았다. 특히 근대 개혁 논쟁에서는 광무개혁의 논쟁, 독립협회에 대한 논쟁,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논쟁 등에서 나타나는 학자들의 주장을 다양하게 소개, 교사가 이를 소화해 가르치도록 했다. 근대사를 보는 시각에서는 민중운동에 대한 시각문제, 개화 자강계열 지도층의 한계성 문제 등을 비교적 자세히 다뤘다. 교과서의 형태를 띤 ‘수업 차시별 내용구조와 학습자료’는 6시간 분량의 근현대사 자료를 정리했다. 근현대의 정치변동은 개항과 개화운동, 열강의 이권침탈과 주권수호 운동을 서술한데 이어 독립운동의 과정,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발전과정을 설명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과정과 함께 ‘민주주의 시련과 발전’ 항에서는 이승만정부에서 김대중 정부까지 담았다. 북한의 변화에서 80년대 이후 상황까지 서술됐으며, 남북 정상회담 사진과 6·15 공동선언의 요지도 함께 포함됐다. 경제 부문에서는 광복직후의 경제혼란에 이어 경제 발전의 과정을 담고, 70년대 이후의 노동운동과 세계를 향해 가는 한국경제가 나란히 실렸다. 베트남 파병과 경기회복, 전태일 분신 사건에 대한 간단한 서술도 눈에 띈다. 사회부문에서는 19세기 평등의식의 확산과 동학농민군의 사회개혁운동이 주요하게 설명됐으며, 민족독립운동기의 각 분야 사회운동이 자세하게 실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