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적·학술적 병행 대응…총괄 검토 후 수위 조절
외교통상부 이규형 제2차관은 6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관련 “동북아역사재단이 관련된 책자를 입수해 분석하고 있다”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적 검토를 거쳐 필요한 조치를 분명하고 단호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내외신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외교적으로 대응할 부분은 분명히 하면서 동북아역사재단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술적 성과 축적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어 “정부는 우리 역사를 왜곡하거나 영토 주권을 침해하는 어떤 사안에 대해서도 여타 사안과 연계시키지 않고 분명하고도 단호하게 대처해 왔으며, 중국과의 역사문제도 예외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또 동북공정을 주도하는 중국 사회과학원의 성격에 대해 ‘국책 연구기관’이라고 설명한 뒤 “일반 사립단체와 다르고 국가공무원으로서 보통 학자와는 다른 신분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연구결과를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해서 발표했을 때 그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학자의 실적이냐, 정부의 뒷받침이 된 실적이냐는 현실적으로 어떻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우리도 국책 연구기관이 있고 거기에 소속된 교수가 있지만 그 교수가 정부 입장에 부합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총괄적으로 검토해서 대응 수위를 조절해야 한다는 말로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또 “2004년 이 문제(동북공정)가 불거졌고, 그 해 8월 24일 한중 간 구두로 양해사항이 체결됐다”며 “고구려사를 왜곡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 측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지적했고, 중국 측은 외교부 홈페이지에 기술돼 있던 부분도 조정했다. 신화사(중국 국영통신사) 홈페이지 등 중앙정부 차원의 왜곡으로 보이는 사례에 대해서도 시정조치한 바 있다”고 그간의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방의 일부에서 아직까지 시정되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왜곡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는 등 노력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