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탄저균 파동으로 생화학테러에 대한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정부는 화학물질을 국가적 차원에서 종합 관리하는 전담부서설치 를 추진중이다.
환경부는 30일 화학물질 관리업무가 현재 7개 부처, 13개 법률로 혼재돼 있어 부처간 조정 필요과 범부처 차원의 전담부서 설치 가 필요하다고 판단, ‘화학물질안전국’을 설치키로하고 행정자 치부와 협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화학물질안전과’ 등 3개과 16명으로 구성될 예정인 화학물질 안전국은 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수립과 정책개발, 화학테러 대 책본부 및 유해 화학물질 사고대응 정보센터 운영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물질은 대부분 산업 현장에서 손쉽게 구 할 수 있어 테러위험이 상존하는 것이 현실” 이라며 “국민들을 화학테러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전문조직의 설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연간 200여종의 신규 화학 물질이 도입되고 있으며 최근 30년간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매출 액은 120배가 늘어나 세계 평균 10배에 비해 12배나 빠른 증가세 를 보이고 있다.
<민동운 기자>min@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