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일 개성공단과 관련한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발표하며 북한측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부는 “북한측의 보다 진정성 있는 태도를 원하는 우리 국민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며 “진심으로 기업과 근로자들의 고통을 해소해 주길 원하고 진정 개성공단이 남북관계의 시금석이라 여긴다면, 침묵이 아닌 책임있는 말과 행동으로 의지를 보여줘여 한다”고 북측의 책임있는 모습을 요구했다.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인 통행 차단과 근로자 철수조치로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지 4개월이 경과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우리 입주기업들의 피해는 실로 엄청나다”며 “정부가 가동중단 이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리 기업들의 피해는 투자자산 약 4500억원 외에 영업손실만 약 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가동중단 이후의 피해상황을 밝혔다.
이어 “보다 심각한 문제는 입주 기업들이 제때 납품을 못해 구매자들의 신용을 잃었으며, 이로 인해 앞으로 개성공단이 재가동된다고 해도 다시 판로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정부는 “날로 늘어가는 우리기업들의 막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 문제는 북한측의 일방적 조치에서 초래된 만큼 북한 당국은 기업손실에 대한 피해보상 등 우리 국민과 입주기업들이 납득할 수 있는 책임있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개성공단을 국제적 수준의 공단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다”며 재차 밝히는 한편 “북한측이 언제 또 다시 정치ㆍ군사적 이유로 공단 운영을 중단시킬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지속된다면, 공단이 재가동된다 한들 제대로 된 기업활동이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고, 결국 기업들은 개성공단을 떠날 수밖에 없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