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어촌지역에 오수정화시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70% 이상을 외지업체가 시공하면서 사후관리가 제대로 안되는데다 건축주의 인식부족과 관리 미흡으로 가동률조차 저조,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1일 해남군에 따르면 관공서와 학교 및 상가 등 해남지역에 모두 343개소의 오수정화시설이 갖춰져 있으나 사후관리가 미흡하고 가동률이 크게 저조해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것.
군은 지난해 오수정화시설과 관련 총 11건을 단속, 1천700만원의 과태료를 부가한데 이어 올들어서도 6월말 현재 5건을 단속해 750만원의 과태료를 징수했다. 이처럼 해남지역 오수정화시설의 가동이 제대로 안돼 행정처분을 받고 있는 것은 시공업체가 6개월만 관리를 하고 이후 건축주가 관리를 맡으면서 외지업체가 시공한 경우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해남지역 초중학교 52개교 중 정화시설을 갖춘 26개교 가운데 해남중학교 등 3개교만 전문업체에 위탁관리하고 있을 뿐 나머지는 비전문가의 주먹구구식 관리에 의존,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수질오염을 크게 줄이는 오수정화시설을 갖추고도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재래식 정화시설보다 환경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환경전문가를 채용해 공동 관리하거나 환경업체에 위탁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군 관계자는“최신식 정화시설을 갖추고도 사후관리 소홀로 제대로 가동하지 않는 학교나 업체들을 대상으로 지도에 나설 계획”이라며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건축주와 주민들의 오수정화시설에 대한 인식전환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동진 기자> dong@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