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48개 부대, 10개 유관기관 42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발표·토의, 장비전시, 위력시범 등 실시
육군 군수사령부는 6월 11일 13시 30분 11탄약창에서 국제적인 테러 증가와 비대칭전으로 전환되는 전쟁수행 양상에 따라 급조폭발물(IED: Improvised Explosive Device)처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시범 및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시범에는 국방부를 비롯해 각 군, 국군화생방사, 주한 미군사령부, 미 8군 등 48개 부대와 국정원, 방사청, 대전경찰청 등 10개 기관을 포함해 총 4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며, 시범에 앞서 미래지향적 EOD (Explosive Ordnance Disposal: 폭발물처리) 발전방안을 위한 세미나도 함께 개최된다.
최근 많은 나라들이 급조폭발물에 의한 테러에 대해 많은 고심을 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군도 EOD반의 독자적인 임무수행능력 보장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시기에 개최되는 폭발물 처리 시범은 국민들의 IED 위협 인식증대와 폭발물 처리장비 및 전문성 확보, 교육훈련 강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통해 우리군의 폭발물 처리 능력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총 3부로 나뉘어 실시되는 시범에는 먼저, ‘한미 양측의 최근 IED발전추세 분석 및 EOD발전방안’에 대한 세미나를 실시한다.
美측은 718 EOD팀장 컨탈도(CONTALDO) 하사가 ▲ 이라크·아프간전에서 발생한 IED처리절차 및 전장사례 소개 등을 발표하며, 韓측은 탄약지원사령부 기술관리처장 이원재 대령 (진)이 ▲한·미 EOD부대 비교 및 EOD전담 부대의 필요성과 한국군 EOD발전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특히, 세미나에는 IED 및 유기·불발탄이 작전수행에 미치는 戰史 분석 및 북한군의 IED 발전 추세를 분석하며, 전·평시 EOD요구 능력과 한국군 EOD통제 조직의 필요성에 대한 토의도 함께 실시할 예정이다.
제 2부는 최근 IED발생 사진 및 유형별 IED견본, 그리고 우리군과 미군 EOD장비 관람을 실시한다. 전시 장비는 자살조끼, 압력밥솥, 여행가방 등 18종의 IED 견본과 EOD로봇, 생화학탐지기, 폭발물 운반 트레일러 등 68종의 EOD장비가 전시되며 각 군 장비 및 미군 장비, 업체 장비가 포함되어 있다.
이어서 제 3부에는 폭발물처리장에서 한미연합 폭발물처리 및 위력시범을 선보인다. EOD 로봇을 이용한 IED처리 시연과 자살차량 IED, 가방을 이용한 IED, 압력밥솥을 이용한 원격무선 폭파 등 7가지 상황을 가정한 폭탄테러 위력시범을 실시할 예정이다.
탄약지원사령부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와 폭발물 처리 시범을 바탕으로 한국군 EOD 발전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EOD 작전개념발전, 장비 확보 및 폭발물처리 능력 향상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육군 군수사령부는 지난 2010년 처음 폭발물처리 시범을 실시한 이후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EOD반 능력향상과 EOD 장비를 보강하고, 한·미 WMD제거, EOD 연합훈련 등을 실시해 왔으며 이번이 2번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