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시민들은 GMO의 안전성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고, GMO 표시제도에 대해 체감하고 있지 못하며, 기업이 GM-free 선언을 할 경우 그 제품을 우선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또한 표시대상 품목 및 의무표시자 확대를 희망하는 등 전반적으로 향후 표시제도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녹색연합은 표시제도 시행 1주년을 맞아 표시제도에 대한 시민 및 기업들의 인지도 및 의견을 파악하기위해 지난 6월 한 달 동안 표시제도를 포함해 GMO에 대한 시민 및 기업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식품선택을 가장 많이 하는 주부들은 응답자의 80.6%가 GMO의 안전성에 우려감을 나타냈고 82.2%가 시중에 GMO 유통여부를 인식하고 있으며, 표시제도에 대해서는 40%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중에서 GMO표시식품을 발견한 응답자는 24.2%에 불과하였고 비의도적 혼입치 3%에 대한 견해도 응답자의 52.8%가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고 답하였으며, 식용유, 간장 등 최종제품에 유전자조작된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표시대상에서 제외되어서는 안된다고 한 응답이 89.4%로 나타나 원료가 GMO이면 제품에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
따라서 정부는 향후 올바른 표시제도의 정착을 위해 ▶현재의 콩, 옥수수로 한정되어있는 표시대상품목을 유전자조작된 모든 원료 및 부산물, 첨가물로 확대하고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하는 패스트푸드업체 등도 표시 대상 의무자에 포함시키며 ▶현재 과도하게 높게 책정된 비의도적 혼입치 3%를 1% 이하로 낮춰야 한다. ▶또한 현재는 불가능하게되어 있는 Non-GMO표시를 제품에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Non-GMo 정책을 유도하고 시민들에게는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한다. ▶더불어 표시제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펼쳐 시민들에게 GMO정첵이 실질적으로 접근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서민철 기자> smc@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