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대통령의 8월 방한 일정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미국 측이 일방적인 발표를 해 우리 측이 뒤늦게 수습해야 하는 일이 벌어졌다. 부시 대통령의 방한은 4월 이명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대한 답방 차원에서 추진된 일정으로 애초 7월 예정이었으나 무산됐다. 데니스 와일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부시 대통령이 7∼9일 열리는 선진 8개국 정상회담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라면서 “이번 만남은 8월 5∼6일로 예정된 부시 대통령의 답방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2일 “부시 대통령의 방한 일정은 합의했으나 ‘모양새를 갖춰 발표하자’며 시기를 조율 중이었다”면서 “미 측에서 부시 대통령의 일본 선진 8개국 정상회의 참석 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방한 날짜를 불쑥 말한 것 같다”고 말했다.미국 측은 서둘러 ‘유감 표명’을 했고, 우리 정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한·미 정부는 부시 대통령의 8월 방한 일정을 공식 발표하는 것으로 사태를 수습하기로 했다. 하지만 ‘7월 답방’ 무산에 이어 ‘8월 답방’ 일정도 백악관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소통 부재’에 대해 외교가의 시선은 싸늘하다.여권 관계자는 “미국이 사전 조율 없이 일정을 먼저 공개한 것에 대해 사과했지만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의도된 결례’”라면서 “미국이 우리나라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도 문제지만 우리가 세게 항의하지 못하고 끌려 다니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한 외교 관계자는 “한·미 관계가 발전하려면 기본적인 의사소통부터 원활해야 한다”면서 “쇠고기 파문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외교채널의 긴장감은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