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8일 개발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이달말까지 결론을 내겠다고 밝혔다.
도는 이날 오송 역세권 주민대책위원회가 이달말까지 "민간 유치가 어려우면 즉시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해제 하라"고 건의한 점 등을 감안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환지개발방식 검토, 2차에 걸친 민자유치 공모 등 도가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의 위기 등에 따라 민자 유치의 실패에 따라 현 상태에서는 더 이상 다른 수단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 시간적 여유가 매우 촉박하고 주민의 재산권 행사를 계속 제한 하는데 에도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도는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성공을 위해 청원군이 지난 8년 동안 심혈을 기울여 왔다는 점을 감안해 공공성과 주민재산권 보호를 함께 고려하고 모든 가능성을 다 열어두고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지난 2005년 10월 오송 신도시 기본계획 수립으로 처음 시작한 이래 그동안 여러번에 걸쳐 변경 추진해 오다 지난 2010년 8월 오송 제2산단과 역세권으로 분리 시행해 왔다.
이에 따라 오송제2산단은 올해 2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의 사업 참여로 현재 보상이 진행(61%)중에 있는 등 정상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은 지난 2010년 12월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이어 지난해 12월 규모를 축소한 후 두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음에도 민자유치가 무산된 상태이다.
오송 역세권은 올해 12월 29일까지 개발계획을 수립, 고시하지 못하면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자동 해제 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