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희귀종 수염수리가 95년 만에 한반도 상공을 나는 모습이 포착됐다.
5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월 27일 강원도 고성에서 95년만에 수염수리 1마리를 관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10년대 북한의 함경남도와 강원도에서 3회 채집된 기록 이후 관찰되지 않았던 수염수리(학명 Gypaetus barbatus, 영명 Beared Vulture)가 무려 95년만에 발견된 것이다.
수염수리는 몸길이가 약 110cm, 양쪽 날개를 편 길이가 260cm에 달하며, 부리 끝부분에 검은색의 수염이 있고 쐐기 모양의 꼬리가 특징인 대형 맹금류로 죽은 동물의 고기와 뼈를 주로 먹는데 공중에서 큰 뼈를 바위에 떨어뜨린 뒤 깨진 뼈의 골수를 먹는 습성이 있다.
또한 수염수리의 분포지역은 주로 중앙아시아, 남시베리아, 서유럽의 높은 산악지역으로 이번에 분포 지역을 멀리 벗어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올 겨울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속된 한파로 수염수리가 정상적인 월동범위를 넘어 우리나라까지 남하한 것으로 추측된다"며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와 '철새 도래실태 연구' 등 조류의 분포와 이동 생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조류의 분포 변화와 국가 간을 이동하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밝히고자 노력하겠다. 철새를 포함한 우리나라 생물자원연구의 중심기관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우리의 소중한 생물자원을 보전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