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안전보안관,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 및 화재예방 캠페인 실시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구청장 김종훈)는 동구 안전보안관(대표 고이곤)과 함께 11월 6일 오전 10시 전하2동 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동구생활안전체험센터의 ‘찾아가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체험하고 동울산종합시장 일원에서 동절기 대비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동구는 동절기 급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도심내에서 개최된 집회시위로 인하여 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28.8%로 지난 해 조사결과(16.8%)보다 12.0% 포인트 증가하였다.
피해사례 중 두번째로 많이 꼽은 확성기로 인한 소음은 지난 해 23.3%에서 13.7%포인트 상승한 35.9%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가장 많은 응답자가 피해사례로 꼽은 도로점거로 인한 교통체증은 66.8%로 지난해(78.9%)보다 12.1%포인트 줄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 지역 응답자가 도심지 교통체증에 대한 불만(72.5%)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집회시위에 대한 소음 수준에 대해서는, 지난해에 비해 긍정적 인식이 다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음에 대한 규제 목소리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음수준에 대해 심각하다는 응답이 61.6%로 여전히 과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확성기 소음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때 규제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응답도 75.2%에 달했다.
또한 소음규제를 현재보다 강화하는 것에 76.5%가 찬성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자영업자층에서는 더욱 높은 호응(82.6%)을 보였다.
야간집회와 관련,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이 허용하더라도 일정시간대만큼은 금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야간집회의 일정시간대 금지에 대해서는 이번 여론조사 항목에 처음 포함되었으며, 필요하다는 응답이 84.1%에 달하였다. 구체적 금지시간대와 관련해서는 과반을 넘은 59.4%가 밤 10시이후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라고 응답하였다.
집회시위 참가자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경찰 대응수준에 대해서는 강경대응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았다.
불법행위에 대해서 경찰이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41.8%로 약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 25.9% 보다 높았다. 선진국과 대비한 우리 경찰의 대응수준이 약한 편이다 41.9%, 비슷하다 20.9%로써 10명 중 6명 이상은 선진국과 비슷하거나 약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교통 불편을 야기하는 도로점거 시위에 대한 경찰대응에 대해서 경찰의 강제해산을 지지하는 응답은 지난 해 80.5%에서 63.1%로 감소하였지만, 과반 이상이 강제해산을 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장검거하고 강제해산하여야 함은 28.3%, 강제해산하되 현장검거는 자제가 34.8%로 현장검거 여부를 떠나 도로점거 시위에 대해서는 강제해산을 찬성하였다.
한편, 이와는 달리 경찰의 대화 협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폭력을 행사할 경우에는 응답자의 66.0%가 시위해산 여부를 떠나 불법행위자에 대한 현장검거를 찬성하고 있었다.
다만, 집회시위 참가자의 현행법 준수여부 평가에 대해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준수한다는 응답은 20-40대 연령층에서 높은 반면, 준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세대별 상이한 의견 분포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