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여의도는 박근혜 정부 창출에 힘을 쏟았던 이른바 ‘공신’들의 처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나 박 당선인이 ‘전문성’을 인선 기준으로 삼으며 ‘낙하산 인사’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 이후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명박 당선인, 출신·과거불문이지만 측근중용으로 논란 일기도 딱 이맘때다. 5년전 이명박 당선인의 인수위 인사와 관련, 전 언론의 모든 평가는 한가지였다. “한번 측근은 영원한 측근”이라며 이 당선인의 오랜 측근과 가신들이 당선인 비서실과 인수위 요직을 맡았다는 점을 예의 주시했다.
특히 이 당선인은 대선 기여도가 높은 인사들을 전진 배치시켰다. 이는 향후 정부 부처 장·차관 인사와 검찰,
경찰, 국세청 등 권력기관 기관장 인사는 물론이고 주요 금융·공기업 인사에서 대대적으로 ‘자기 사람’을 앉혔다. 이 때문에 ‘낙하산 -
회전문 - 선거 캠프 인사’라는 비판을 벗어날 수 없었다.
어쩌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로 이어지는 10년 동안 보수진영 인사들에 대한 철저한 소외로 ‘자리 공백’이 너무 컸다.
여기에 당시 맞상대였던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 격차로 많은 이들이 이명박 대통령 후보 주변에 몰려들었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 후보 당시 특보만 해도 몇만명 단위를 넘어 십만여명이라는 설이 돌 정도였다. 그만큼 보상심리가 컸다는 이야기다.
물론 당선인이 되고 난 이후 ‘논공행상’ 과정에서는 능력과 실적이 있다면 과거나 출신에 얽매이지 않고 사용하겠다는 기준을 세웠다. 이명박 당선인 역시 “출신 지역과
학교를 초월해 실력과 전문성을 유일한 기준으로 삼으라”고 지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철학을 십분 이해하며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을 거르는 과정에서 이른바 실세 외의 ‘주변 공신’들은 공기업·준 정부기관·기타 공공기관·각 부처 등으로 인사가 이뤄져 전체적으로 보면 어림잡아 2000여명 수준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