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지난 18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재신임 국민투표 정치적 타결′을 언급한 데 대해 "대통령 스스로 재신임을 묻겠다고 해놓고 이제와서 `정치적 타결′ 운운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국민투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대통령이 철회하면 될 것"이라고 `결자해지′를 주장했다.
재신임 문제로 인한 혼란과 논란은 처음 재신임 문제를 꺼낸 노 대통령에게 있다는 책임소재를 분명히 함으로써 재신임 국민투표 제안에 대한 당의 애매한 입장에 대한 비판여론을 피해 가겠다는 뜻이다.
특히 `정치적 타결′이 국민투표외 다른 방법 모색으로 해석되자 대통령이 재신임을 굳이 묻는다면 현실적으로 재신임 국민투표외 다른 대안이 있을 수 없다고 다시 국민투표 가능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박 진(朴 振) 대변인은 논평에서 "우리 당의 입장은 전혀 변화가 없다"면서 " 최도술(崔導術) 비리사건 등 대통령 측근의 비리에 대해 진상을 규명한 후 불신임 절차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사덕(洪思德) 총무는 "우리 당이 재신임 국민투표를 반대하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고, 최도술 사건이 전제조건인 것처럼 받아들이는 것도 잘못 이해된 것"이라며 "최도술 사건이 표에 영향이 좀 있다는 것 뿐이지 재신임 국민투표의 핵심은 노 대통령에게 4년을 맡길 것이냐 말 것이냐"라고 주장, 국민투표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재오(李在五) 의원은 "당의 모든 것을 걸고 불신임을 관철시켜야 한다"면서 "노무현과 한나라당은 이제 빗장을 걸고 진검승부를 펼칠 때가 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도 지난 19일 `선 진상규명′ 후 국민투표 등을 통한 불신임 관철 입장을 재확인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