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 5개 분야 16개 중점과제 선정-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의 독특한 문화와 풍경을 담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디자인도시를 실현해 나가기 위해 『2020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을 수립 확정하였다.
이번에 새롭게 수립된기본계획은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 상위 계획과 경관관리계획상 제시된 과제들을 상호 보완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면서「선보전 후개발」의 정책을 바탕으로 공공디자인 정책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수립하게 되었다.
그동안 행정과 관련분야교수 및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TF팀을 구성하여 11회에 걸친 다양한 의견개진과 검토 등을 통하여 디자인전략/중점과제/가이드라인/디자인품질관리실행계획 등 분야별 실천계획을 마련하였다.
중점과제로는, 자연의 가치를 우선하는 도시디자인, 경관저해시설입지기준 및 관리, 매력있는 농어촌 경관형성 추진, 휴식/조망/문화공간을 제공하는 경관도로 조성 등을 핵심 분야로 선정 16개 과제를 중점적으로 실천 추진할 것으로 하였다.
- 자연의 가치를 우선하는 도시디자인 실천방안은 건축물고도기준정비, 초고층건축물 지양 등을 골자로 하는 시각통로관리계획, 제주조망경관 기본계획, 스카이라인 관리계획 수립 등으로 해당지역의 스카이라인 기준설정과 개발계획의 수립 시 등에 활용하게 된다.
- 경관저해시설 입지기준 및 관리방안으로는 전선지중화 기본계획 수립, 풍력발전시설의 경관관리기준 수립, 국제자유도시기반시설 조성, 국제관광도시 위상 등에 걸맞는 옥외광고문화 조성과 제주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무질서한 색채개선 등으로 경관관리 강화체계가 구축된다.
- 매력있는 농어촌 경관형성 방안으로는그동안 도시경관 위주로 편중되어 농어촌 지역은 경관심의도 생략하는 등 법적용이 매우 미흡하였던 것을 개선하여 우수경관지역의 난개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농어촌경관도 도시경관에 포함 추진하는 것으로 하였다.
- 휴식/망/문화공간을 제공하는 경관도로 조성을 위하여는 장소적 특성이 있는 테마별 경관도로를 조성하고, 주요 관광지 등과 연계하는 제주형자전거도로를 조성하며, 공원을 보행자 중심으로 하는 도시공원 네트워크화를 마련하는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도시행정을 접목하기 위한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은도로시설물, 가로유형별 용역추진과 옥외광고물의 표준모델 발굴을 위한 용역 등을 추진하여 제주도시의 가로별, 시설물 광고물 등 도시디자인 형성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디자인 품질관리 위한 프로세스 구축방안은 기획과정(총괄계획가참여 등) 설계(디자인심의 강화), 공사과정(디자인감리 등), 유지관리과정(디자인평가 등)을 통한 도시디자인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키로 하였다.
도시디자인 정착을 위한 사회여건 조성방안은 디자인교육 등을 실시하는 사회교육프로그램 지원, 시민참여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민참여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주민, 전문가, 행정의 상호협력을 통한 디자인 멘토제 운영 지원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행정적/제도적 실행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 제주의 자연경관 중에 공공디자인과 사적공간의 특성 등을 파악하여 도시디자인 형성에 대한 기본적인 구상을 하고 추진전략인 국제자유도시 경관형성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도시디자인 정착을 위한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기로 하였다.
앞으로 이와 같은 기본계획을 근거로 하여 중점사업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한편, 제도적 장치를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설계 후 경관심의 및 발주 → 착공 → 준공 등 절차이행을 특별한 기준 없이 시행하여 체계적인 경관관리가 미흡하였으나 앞으로는 국제자유도시경관 형성의 틀에서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을 도시행정에 접목하여 제주다운 도시디자인 형성 추진에 기여하게 된다.
_?xml_: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문의: 제주특별자치도 도시디자인단 064-710-3351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