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 |
4.29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0대5 전패한 원인으로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이명박 정부 심판론쪽에 큰 무게를 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여당의 재보선 참패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는지 조사한 결과, ‘이명박 대통령의 실정에 따른 평가’라는 의견이 56.8%로 압도적이었고, ‘친이, 친박 세력간 내분’(9.5%), ‘당 지도부의 리더쉽 부재’(7.8%), ‘잘못된 후보 공천’(7.6%),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 전 대통령 수사에 대한 역풍’(7.4%) 등 기타 원인들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 하지만 여당의 참패 원인에 대한 해석은 지지정당에 따라 의견차를 보였는데, 민주당(58.9%)을 비롯한 야당 지지층은 일제히 이 대통령 심판론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한나라당 지지층은 심판론(26.5%)이라는 지적 못지않게 ‘친이,친박 세력간 내분’(19.9%)이나 ‘잘못된 후보 공천’(17.2%)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지역을 불문하고 이번 사태를 이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연결짓는 의견이 많은 가운데, 특히 전남/광주 응답자가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북(68.2%), 대전/충청(62.3%), 인천/경기(59.9%)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여성(54.6%)보다는 남성(59.1%)이 이 대통령의 실정에 따른 평가를 많이 꼽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러한 의견이 많아 20대가 7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64.4%), 40대(53.9%), 50대 이상(44.1%) 순이었고, 반면, ‘친이,친박 세력간 내분’ 때문으로 보는 의견은 50대 이상 응답자가 16.3%로 가장 많았다. 한편 덕진구와 완산구에서 각각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정동영, 신건 당선자의 민주당 복당과 관련해서는 ‘복당 불허’(41.9%)와 ‘복당 허용’(41.9%)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당 시기에 관해서는 ‘당규에 따라 1년 이후에 복당을 허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23.7%로 ‘당장 입당시켜야 한다’(18.2%)는 의견보다 5.5%p 가량 많아, 좀 더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 지지정당별로 두 당선자의 거취에 관한 의견을 비교하면, 한나라당(57.2% 〉26.3%)을 비롯해 자유선진당(53.2% 〉29.2%), 민주노동당(58.8% 〉32.6%) 지지층은 복당 불허가 허용 의견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민주당 지지지층은 64.7%가 복당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 복당 불허(23.0%) 의견을 크게 앞섰고, 그중에서도 당장 입당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44.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는 전남/광주(8.2%〈79.8%), 전북(10.4%〈78.1%) 및 서울(39.7%〈44.5%) 응답자는 복당 허가 의견이 우세한 반면, 의견차가 팽팽한 부산/울산/경남(37.9%〈40.2%)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복당 불허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당 허가 의견이 우세한 세 지역에서도 그 시기에 관해서는 당장 입당보다는 1년 이후 허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연령별로는 20대(56.2%〉22.9%)만이 복당 불허 의견이 우세했고, 그 외 연령층은 시기에 대한 의견차는 있으나 복당 허용쪽으로 의견이 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4월 30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 응답률은 28.9% 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