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청와대)11일 청와대 및 국방부에 따르면 송 장관은 지난 3월 기무사의 '전시 계엄 및 합수업무수행방안' 문건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 지난해 3월 10일 있었던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 따른 시나리오가 담겨있었던 그 보고서다. 탄핵안이 기각 될 경우 위수령과 계엄령을 통해 시위를 막는 방안까지 언급이 됐었다.
송 장관은 이후 약 4개월 동안 기무사의 '계엄령 검토' 사실을 인지하고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측은 '문건 내용을 은폐하려고 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면서도 "현재 단정적으로 답변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송 장관이 지난 봄부터 기무사 개혁이란 큰 틀에서 계엄령 문건도 같이 해결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대신 설명했다. 송 장관이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그러나 군 안팎에선 기무사 문건을 청와대가 보고 받은 시점, 대통령의 특별수사단 구성 지시 타이밍 등을 두고 정치적 해석과 의문도 제기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