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보은군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드론 전용 비행 시험장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5일 군은 전국 7개 지자체가 이번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구축사업 선정에 각축전을 벌인 가운데 보은군이 최종 사업대상지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드론 전용비행 시험장 구축사업은 다양한 환경과 여건에서 드론의 실증시험과 안전기준을 연구하고, 사업모형을 발굴하기 위해 2017년부터 오는 2019년까지 3년간 매년 20억원씩 총 60억원의 국비를 들여 드론 전용 이·착륙장, 통제센터, 정비고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보은 공역장에는 통제센터, 정비고, 헬리패드 등을 구축할 예정으로 수도권 및 충청권 유일의 드론 산업 중심지의 기반을 다지게 됐다.
또 보은군은 전국 어디서나 2시간대로 접근성이 뛰어나 전국 드론 관련 사업자의 방문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항공안전법 개정으로 야간,가시권 비행 특별 승인제가 오는 11월부터 실시되는 등 법적·제도적 근거가 마련되고 다양한 분야의 드론 상용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돼 개발과 인증을 위한 드론전용 비행 시험장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 질 전망이다.
앞서 보은군은 2016년 12월 말 국토교통부의 드론 시범 지자체로 선정된 후 지난 7월10일 보은군 산외면 신정리 276-2 일원에 직경 6㎞, 면적 28.3㎢ 규모로 관제센터, 자동기상관측장치를 갖춘 보은 공역장을 개장했다.
그러나 드론사업을 바라보는 신정리 주민들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신정리 주민들은 마을 중앙을 도로를 확포장해 드론공역장으로 진입하는 도로로 활용해 각종 임산물 판매 등의 소득창출을 기대했지만 충북알프스휴양림에서 임도를 따라 마을과는 전혀 상관없이 도로를 건설하고 있어 '남의 이야기'라는 반응이다. 그러면서 고성능카메라 등의 장비를 갖춘 드론이 야간비행 등에 나설 경우 자칫 사생활 침해나 비행 소음공해가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신정리 주민 K씨는"드론산업이 차세대 유망사업은 분명 맞지만 생산과 이에따른 인력 고용창출 등의 뒷받침 없는 시험비행장은 큰 의미가 없다"며 "보은군이 보은산단에 각종 드론 산업을 적극 유치해 생산과 비행테스트·정비 산업망을 구축해야 지역경제도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