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전북도 등 호남권 3개 시·도가 올 상반기 호남권정책협의회를 열고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을 확정, 추진키로 했다. 내년 2018년은 전라도 정도(定都) 천 년이 되는 해다.
전주와 나주를 아울러 전라도(全羅道)로 명명된 지 1000년이 되는 해인 것이다. 주요 프로젝트는 천년사 편찬, 천년 랜드마크와 천년 가로수길 조성 등 7개 분야 30개 기념사업이다. 3개 시도는 특히 내년 ‘전라도 방문의 해’에는 한(韓)마당 페스티벌, 광역투어버스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예정이다.
세부 사업 계획을 보면 천년 역사와 문화 및 새로운 미래를 상징할 랜드마크로 ‘천년의 빛 미디어 창의파크’(광주), ‘전라도 새천년 공원’(전북), ‘전라도 천년 정원’(전남) 조성 등이 있다. 광주 희경루, 전주 전라감영, 나주목 관아 등 대표적 문화유산 역시 체계적으로 복원된다.
호남권 자치단체가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을 바탕으로 문화유산과 천년 역사를 재정립하고 화합과 상생의 계기를 마련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협력사업이 전라도의 새로운 미래를 기약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기에 의의가 적지 않다. 다만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 확보에도 공동보조를 이뤄 성과를 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번 협력사업에 그치지 않고 호남권 3개 시·도는 호남권 관광벨트 구축, 전라선 고속철도 추가 증편 등 굵직한 공통 현안에서도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협력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 사업 성공에는 시·도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가 관건인 만큼 기존 관(官) 주도의 행사 추진에서 벗어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참신한 모델 제시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