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혜빈 저자,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판기념회 개최
동구의회 윤혜빈의원[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윤혜빈 저자의 신간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간을 기념하는 출판기념회가 오는 2025년 11월27일(목)저녁7시,동구청 2층 대강당에서 열린다고 밝혔다.이번 저서는 3년 동안 지역 현장에서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를 더 넓은 사회적 공감과 희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정 활동...

기상이변으로 3년간 가뭄을 맞았던 강화군은 가뭄과의 긴 싸움 끝에 올해 모내기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모두 확보하는 결실을 맺었다.
인천시 강화군은 그동안 사상 최악의 가뭄에 비상 대책반을 운영하고, 농림축산식품부, 국민안전처, 인천광역시 등과 함께 힘을 합쳐 148억여 원의 예산으로 관정개발, 저수지 및 하천 준설, 양수장 설치 등 안간힘을 써 고비를 넘겨왔다.
이상복 군수는 지난해 가뭄 현장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께 한강물을 끌어오는 사업을 건의했고, 중앙정부와 국회, 인천시의 세심한 관심과 노력으로 한강물을 끌어오는 ‘강화지구 다목적농촌용수개발사업’이 확정돼 48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하지만 사업을 추진하는데 2~3년 소요되고 지난해 9월 저수율 또한 10% 미만으로 올해 모내기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이상복 군수는 가뭄 극복을 위해 임시라도 물을 끌어와야 한다며 인천시와 함께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하고 설득해 39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임시관로를 이용한 한강물 끌어오기 사업을 완료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겨울 내내 강화 북단(강화읍, 송해, 내가, 하점, 양사, 교동) 지역에 한강물을 공급하여 내가면 고려저수지 외 8개소와 하천 6개소 등에 1천8백만 톤의 농업용수를 확보했다. 가뭄 극복을 위한 군민 모두의 단합된 노력으로 모내기는 물론 분얼기까지 공급할 수 있는 농업용수를 확보함으로써 최악의 가뭄을 극복하는 한강물의 기적을 만들어 낸 것이다.
한편, 강화에서도 섬 지역인 삼산면은 섬 특성상 한강물을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가 확보되지 않아 금년도 모내기가 불확실했다. 때문에 건답직파, 타작물 대파 또는 휴경을 생각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농민들의 기막힌 아이디어와 쌀농사는 나의 생명이라는 끈질긴 노력으로 지난해부터 500여 개의 손 관정을 개발했다. 강화군에서도 가뭄 극복을 위해 중형관정 개발과 농업용 모터 등을 지원했다. 현재 850공의 관정 가동을 통해 250만 톤의 농업용수를 확보하여 지하수의 기적을 이루어 냈다.
강화군은 3년간의 최악의 가뭄을 반드시 극복하겠다는 의지로 농업용수 확보에 주력하여 지난해에 10% 미만이었던 저수율을 60%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서울에서 가져온 한강물이, 850공의 관정이 퍼 올린 지하수가, 농업인들의 농업에 대한 애착과 노력이 모여 만든 한편의 기적의 드라마다.
양사면 농민 이 모 씨는 “물이 가득 찬 저수지와 하천 등을 보고 있자니 벌써 풍년이 온 거 같아 마음이 든든하다”며, “한강물이 농민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줄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