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교박물관과 함께 공주 공산성에 대한 2014년 제7차 발굴조사에서 백제 시대 완전한 형태를 갖춘 대형 목곽고(목재로 만든 저장시설)를 최초로 확인, 백제 멸망기 나․당연합군과의 전쟁 상황을 추론할 수 있는 다량의 유물을 발굴했다고 23일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공산성 백제 왕궁 부속시설 발굴조사는 지난 2008년부터 연차적으로 진행됐으며, 올해 부속시설 영역 중앙부에 해당하는 곳을 조사한 결과 건물지군과 도로, 배수로, 저수시설, 축대 등이 기능과 위계에 따라 구획돼 있어, 백제 시대의 생활공간 활용과 건물 배치 기술까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발굴조사한 유구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건물지군 북단의 대형 목곽고로, 크기는 가로 3.2m, 세로 3.5m, 깊이 2.6m이며, 너비 20~30㎝ 내외의 판재를 기둥에 맞춰 정교하게 조성했다.
바닥면에서 벽체 상부까지 부식되지 않고 조성 당시 모습 그대로의 원형이 남아 있으며 특히, 기둥 상부의 긴 촉이 테두리보 상부까지 솟아나 있고, 내부에서 기와 조각이 다수 출토된 점 등으로 보아 상부에 별도의 지붕 구조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백제 유적에서 목곽고는 대전 월평동 산성, 부여 사비도성 내에서도 발굴됐지만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으며, 하단의 바닥과 50㎝ 내외 높이의 벽면만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산성 목곽고는 상부 구조까지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목조 건축물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백제 시대 건물 복원과 연구 등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내부에서는 복숭아씨와 박씨가 다량 출토됐다. 이와 함께 무게를 재는 석제 추와 생활용품인 칠기, 목제 망치 등의 공구도 수습됐다. 석제 추는 원형으로 중앙에 고리가 있으며, 무게는 36g이다. 칠기는 목재를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표면에 옻칠이 정교하게 칠해져 있다.
또 나무망치를 비롯해 목제 공이와 손잡이, 목제 가공품 등이 수습됐다. 특히, 원통형의 망치는 너비가 19㎝이고, 손잡이 길이는 15.5㎝로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으로, 목재를 결구할 때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나무망치는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공구로, 현재도 이러 형태가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디자인 면에서도 매우 뛰어나다.
목곽고의 용도에 대해서는 연구를 진행 중이며, 저장시설 또는 우물 두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우선 벽면에 오르내릴 수 있는 말목구멍이 있으며, 외면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점토 다짐을 한 점과 내부의 틈새를 점토로 메운 것으로 볼 때 저장시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저지대에 물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입지하는 위치를 볼 때 우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형 목곽고는 백제의 목재 가공 기술이 고스란히 드러나며, 추와 목기, 씨앗류 등 백제의 생활문화상을 풍부하게 담고 있는 타임캡슐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백제 시대 건물 복원과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를 제공한 공주 공산성 발굴현장은 관계전문가 회의를 거쳐 보존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