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박 장애를 가진 소년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린 소설 ‘내 이름은 올스타’
최근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강박 장애 환자는 매년 전년 대비 10%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아동, 청소년 환자의 증가 추세는 성인보다 두드러지며, 단순히 어린 시절의 잘못된 습관 정도로 가벼이 여기고 지나치거나 주변의 시선을 우려하여 감추는 경우까지 감안하면 환자 수는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렇다면 아동, 청소년층에서 강박 장애 환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쩌면 우리 교육계와 사회 전반에 만연한 과도한 경쟁 풍토 때문이 아닐까?
오늘날 아이들은 너무 어린 나이부터 과도한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온갖 사교육에 시달리고 있으며, 중학교에 입학한 이후부터는 그야말로 입시 경쟁에 ‘올인’해야만 하는 운명이다. 경쟁을 부추기고 서열을 매기는 분위기 속에서 1등이 되지 못한 아이들은 종종 열패감과 좌절감을 맛보게 된다.
공부뿐만이 아니다. 외모, 집안 등 모든 것이 비교의 대상이 되면서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아이들은 모든 면에서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에 쉽사리 빠지게 된다. 그로 인해 우리 주변에는 현재 자신의 모습에 만족하지 못하고 멋진 외모에 집착하다 섭식 장애를 겪는 아이들, 과도한 스트레스로 마음의 병을 얻은 아이들이 넘쳐나게 되었다.
아론 카로의 소설 ‘내 이름은 올스타’(놀)의 주인공 척 테일러 역시 자존감을 상실한 나머지 스스로를 ‘루저’라 여기는 17살 소년이다. 척은 심한 강박 장애에 시달리며 고교 생활의 마지막 몇 달을 힘겹게 보낸다. 하지만 전학생 에이미와 첫눈에 사랑에 빠지면서 척에게 조금씩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난다. 에이미의 마음을 얻기 위한 이런저런 시도를 해 보고, 자신을 무시하는 못된 친구들에게도 처음으로 당당히 맞선다. 무엇보다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가로막아 온 강박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를 시작한다.
미국의 유명 코미디언이기도 한 작가 아론 카로는 ‘강박 장애’라는 현실 밀착형 소재에 자신의 장기인 유머를 더해 유쾌한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나약한 자신, 별 볼 일 없는 자신을 무기력하게 받아들이고 끌려가던 척이 온전히 자기 자신의 의지로 강박 장애를 이겨 나가는 장면은 독자들에게 짜릿한 쾌감과 재미를 선사한다.
‘내 이름은 올스타’는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휘둘려 용기와 자신감을 상실해 버린 청소년들의 내면에 통쾌한 한 방을 날린다. 열등감에 사로잡혀 자신의 가능성을 너무 쉽게 닫아 버리는 아이들,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모든 10대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