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은 여름철에 많이 발생 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5~6월에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5년간 월별 평균 식중독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 5~6월에 발생한 식중독(68건, 2,932명)이 한 여름철인 7~8월(65건, 1,209명)보다 환자수가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5~6월에 식중독 환자가 많은 것은 단체관광 및 야외 수련활동이 많이 늘어 여행지 주변 음식점에 많은 사람들이 몰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발생장소별로는 음식점(29건, 43%), 학교와 기업체 등 집단급식소(23건, 34%) 순으로 높았으며, 환자수는 집단급식소(2,075명, 71%)와 음식점(455명, 15%)이 전체 86%를 차지했다.
식약청은 5~6월이 하루 중 일교차가 큰 시기로 국민들이 식중독에 대한 주의를 소홀히 할 경우 식중독 균이 증식되어 식중독 위험이 여름보다 오히려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도시락을 준비할 때 밥과 반찬류는 충분히 식힌 후에 용기에 담고, 김밥 속재료도 먼저 익힌 뒤 싸야 미생물 번식을 막을 수 있다. 또 음식물 조리 시에는 내부까지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74℃에서 1분 이상 조리해야 하고, 식재료나 조리된 음식물은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없도록 5℃이하 냉장 보관하거나 또는 60℃이상 온장 보관 등 온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고기류와 채류의 칼·도마·용기 등은 구분하여 사용하고,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 먹을 경우 집게나 가위 등은 생 고기용과 익힌 고기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