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국가 안보태세를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대통령 직속의 국가안보 총괄점검기구를 즉각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4일 오전 국방부에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면서 모두 연설을 통해 국가안보총괄점검기구를 한시적으로 즉각 구성하고 안보 역량 전반과 위기관리 시스템, 국방 개혁 등 주요 안보사안을 면밀하게 검토해 대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현재까지 분명한 사실은 천안함은 단순한 사고로 침몰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목숨을 건다는 각오로 대비하지 않으면 자유를 지킬 수 없고 평화를 얻을 수 없다"면서 "천안함 사태를 극복하면서 우리의 안보태세 역시 누구도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강건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안보 역량 전반, 위기관리시스템, 국방개혁 등 안보 관련 주요 사안들이 면밀하게 검토되고 대안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강한 대한민국은 강한 안보에서 나오며, 강한 경제도 강한 안보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실에 안보특보를 신설하고 위기상황센터를 위기관리센터로 바꿔 안보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군 선진화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세계 유일의 적대 분단이라는 한반도의 특수 상황을 고려해 특수전 등 이른바 비대칭 전력에 대한 우리 군의 대비 태세가 확고한 지 새롭게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 육해공 각 군이 협력 속에서 실시간 입체 작전을 수행하고, 전투력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육해공군간 합동성 강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강한 군대는 강한 무기보다도 강한 정신력이 더 중요하다며, 우리가 매너리즘에 빠져 있었거나 현실보다는 이상에 치우쳐 국방을 다뤄온 것은 아닌지 반성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끝으로 "이제 우리는 이 슬픔을 딛고 다시 시작해야 한다. 우리가 더 강해지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대한민국 국군사에서 또 하나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태영 국방부 장관과 함참의장, 3군참모총장 등 군단장급 이상 지휘관, 산하 기관장, 국방부선진화추진위원장, 청와대 정무·외교안보·홍보 수석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