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일상이 된 커피.
커피 하루 소비량 25억 잔, 세계인의 3명 중 2명은 커피를 마신다.
달콤한 잠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비몽사몽, 고개가 저절로 인사를 하는 분주한 아침, 따뜻하고 향기로운 커피 한잔이 머릿속에 떠로은다. 삼삼오오 분주한 사람들의 손에 들린 커피 한 잔, 지금 막 문을 연 카페로 혹은 편의점으로 커피를 원하는 사람들의 조급해진 발걸음,. 어느덧, 현대인에게 커피는 '일상'이 되었다. 우리는 커피로 하루를 시작하고, 식사 후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허전함을 느낀다. 커피는 일상의 시작이며 쉼표인 것이다.
실제 커피는 인간이 물 다음으로 많이 마시는 음료라고 한다. 세계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커피의 양은 무려 25억 잔으로, 3명 중 2명은 키피를 마신다고 할 수 있다.
커피 한 잔의 진실- 커피가 환경파괴의 범인?!
그렇다면, 커피를 이리도 사랑하는 우리들은 커피의 진실을 알고 있을까?
커피를 생산하는 국가들은 대부분 케냐, 우간다 등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가난한 나라들이다. 가난한 커피 재배농민들은 커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커피를 통해 발생하는 이익의 대부분이 재배농민들이 아닌 커피를 가공하는 거대 다국적 기업들(미국의 크래프트, 유럽의 네슬러, 미국의 프록터&겜블)에게 돌아가고 있다.
따라서 먹고 살기 어려워진 커피 재배농민들의 상황과 '돈 잘 버는' 거대기업들의 욕심이 맞물려 커피재배과정에서 환경파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커피의 환경파괴란 무엇일까?
커피나무는 햇빛이 아닌 안개로 익어간다.
안개가 주는 수분과 양분을 통해 자라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커피나무는 그늘에서 재배했다.
커피나무를 심기 전 땅을 층층이 계단형식으로 만들고 키가 3~5cm 커피나무 위로 키가 큰 바나나 등의 과실나무 등을 심었던 것이다. 농업과 열대림이 조화를 이루는 '농업생태계'의 현장이었다.
그러나 생산증대를 위해 평평한 땅에 커피나무를 줄지어 심기 시작했다. 커피나무를 이전보다 더욱 촘촘하게 심고, 더 많은 숲을 커피농장으로 만들었으며 많은 농약과 화확비료를 사용했다. 결국 토양이 황폐해지고 커피나무와 숲이 이루던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자 그렇다면 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
불행 중 다행으로 커피를 마시기 위한 과정에서 환경이 파괴되 환경보호 단체들이 커피 잔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커피 소비 운동'을 통해 정당한 수익을 커피농민들에게 돌려 주면 사회정의와 환경보전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커피소비운동'이란 커피가 야기하는 환경파괴와 안타까운 재배농민들의 문제를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 커피농민들에게 제 값을 주고 거래한 커피,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재배한 커피의 소비를 권장하는 운동이다.
그렇다면 환경파괴를 일으키지 않은 커피를 어떻게 구별할까?
현재로서는 FLO의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짜 인증마크가 유통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안고 있어 100% 신뢰란 어렵다. 그렇다면 이래도 우리는 두 손 놓고 있어야 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커피가 일으키고 있는 환경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습관처럼 하루에 커피 한잔의 여유를 즐기지만, 그 안에 담긴 진실을 알지도 알려고도 하지 않은 것이다.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족하니 이를 위한 대책을 마려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커피를 향유하는 소비자, 우리들 스스로가 커피의 진실을 들여다보고 대책에 대해 고민하며 커피시장을 향해 목소리를 높여야만 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