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9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탄생했다.
조선왕조 42명의 왕과 왕비의 왕릉 가운데 북한에 남아있는 2곳을 제외한 40기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우리시간으로 27일 새벽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가 조선왕릉의 세계유산 등재를 승인했다.
한 왕조의 왕릉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세계 유일의 왕릉군이라는 점과 자연미를 살린 독특한 미학이 높게 평가됐다.
또 현세와 내세를 구분 짓는 홍살문과 제례를 지내는 정자각, 그리고 봉분이 있는 성소 처럼 당시의 철학과 세계관을 반영한 왕릉의 형태와 왕실의 자손과 문화재청이 지금까지 왕릉에 제사를 지내며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높게 평가받았다.
이로써 한국은 석굴암ㆍ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 창덕궁, 수원 화성(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ㆍ화순ㆍ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년), 그리고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년)에 이어 통산 9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하지만 선정 당시에 약속했던 보호 정책을 이행하지 않거나 유적이나 유물이 훼손되면 세계유산 자격을 잃게되기 때문에 꾸준한 사후 관리가 필수적이다.
경제적인 기대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제주도는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외국 관광객 수가 20% 증가했다.
문화재청은 왕릉의 훼손된 부분을 복원해 최대한 원형을 되살리는 한편 종묘, 창덕궁, 왕릉을 한데 묶어 조선 왕실 문화와 역사를 체험, 감상할 수 있는 관광 상품도 선보일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