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4,000 명 이상의 민간인들이 잔혹하게 살해됐으며 이는 하루 평균 94 명이 숨진 수치라고 유엔 보고서가 밝혔다. 지난 11월,12월 소식을 다룬 격월로 발표되는 이라크를 위한 유엔 원조 임무 (UNAMI)의 인권 보고서는 지난 해 2월 22일 사마라 지역의 시아파 사원 테러 이후 급상승한 끊임없는종파 분쟁의 1년간 사망자 수를 밝혔다. 이 높은 민간인 사망자 수치는 대학교 근처에서 일어난 대규모 차량 폭탄테러를 포함해 교전과 폭탄테러로 수십여 명의 이라크인들이 바그다드에서 숨진 날 발표됐다. "UNAMI의 정보에 따르면, 6,376 민간인들이 2006년 11월과 12월에 잔혹하게 살해됐으며 바그다드에서만 4,731 명이 사망했다. 이들은 대부분 총상으로 사망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9월과 10월의 사망자 수와 비교할 때, 사망자 수는 약간 감소했다. 이것은 폭력 사태는 어느정도 진정 됐으나 아직도 무수히 많은 무고한 피해자들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6년 동안, 총 34,452 명의 민간인들이 잔혹하게 살해되고 36,685 명이 부상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유엔 보고서에 나온 사망자 수는 이라크 정부가 밝힌 수보다 3배 가까이 높다고 AP는 전했다. AP는 이라크 보건부가 이라크 정부와 병원들이 공개한 정보에 근거해 작성된 보고서에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AP는 이라크 정부가 유엔이 공개한 이전의 수치는 부정확하고 과장된 것이라고 반박했다고 밝혔다. 리포트는 바그다드 상황이 특히 안좋고 특히 바그다드에서의 종파 분쟁이 교육자, 의사,기자,판사,변호사, 정치,종교 지도자들을 포함한 각계 각층의 전문 직종 종사자들 뿐만 아니라 모든 이라크인들이 터전을 잃고 계속 이주하는 상황의 주요 원인이라고 꼽았다. 보고서는 사마라 폭탄테러 이후 최소 470,094 명의 사람들이 외부 압력에 의해 이라크 내에서 실향민이 됐으며 이중 38,766 명의 실향민은 바그다드에서만 발생했다. 테러 집단과 저항세력에 의해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는 종파간 살인이 여전히 이라크의 폭력 사태의 주요 원인이다"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사원, 시장 일용직 픽업 장소, 경찰 모집 센터와 같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가 주된 표적이다. 총상 입고 고문 당한 흔적이 있는 버려진 시신들이 매일 바그다드 전역에서 발견된다. "여성과 아동을 포한한 어떤 종교, 민족도 공포를 조성하고 많은 이라크 가정의 일상 생활을 방해하는 만연한 폭력 사태로부터 벗어나지 못했다. 이런 상황으로 부모들은 더이상 자식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수도와 그 주변 지역으로 일반 활동 반경을 제한하고 있다. 폭력은 정치 과정 역시 파괴하며 새로운 이라크 제도가 제대로 운영하는데 진전을 방해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유엔 보고서는 바그다드 지역들이 더욱 무장한 수니와 시아파 그룹으로 나뉘며 도시 내 인구 상당한 인구 이동이 있으며 그 결과 종파와 민족성에 따라 그룹이 형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 테러집단을 포함한 저항세력은 바그다드와 안바르, 바빌,디얄라, 니네베, 살라헤딘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특히 몇몇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라크 남부, 북부의 일부 지역과 북부 쿠르드 지역은 상대적으로 안전하여 다른 지역보다 더 나은 인권 상태가 보고됐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쿠르드 지역과 다른 지역에는 정부 부패와 소수 민족과 여성들의 권리 문제가 남아있다. 종교적 극단주의가 더욱 만연해 이라크 남부,중부 지역의 교육,여성과 소수 민족의 권리가 피해 보고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