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KBS뉴스영상캡쳐대장동 배임 의혹 사건에 이례적인 '항소 포기' 결정을 하고서도 이유를 밝히지 않던 검찰 수뇌부.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항소 포기 이틀 만에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노 대행은 "검찰총장 대행인 저의 책임으로 서울중앙지검장과 협의를 거쳐 숙고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법무부 의견도 참고한 후 판결 내용과 항소 기준 등을 종합해 항소를 제기하지 않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법무부에서 누가 어떤 식으로 의견을 전달했는지, 자세한 판단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았다.
대장동 사건 수사·공판 검사들이 "법무부에서 반대 의견을 내면서 수뇌부가 항소를 불허한 것 아니냐?"며 이른바 '외압'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나온 검찰 수뇌부의 첫 입장.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도 입장문을 냈는데, 항소 여부에 대해 중앙지검 수사팀과 대검찰청 의견이 달랐다고 밝혔다.
정 지검장은 "대검 지휘권은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중앙지검 의견을 설득했지만 관철시키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검 지시를 수용하지만, 중앙지검 의견이 다르다는 걸 명확히 하고 상황에 책임을 지기 위해 사의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검찰 내부 반발도 이어졌다.
대장동 사건 수사 검사였던 김영석 검사는 "대장동 민간업자들이 수천억 원 범죄수익을 향유할 수 있게 됐다"고 비판하는 글을 올렸고, 한 초임 검사는 "국민에 대한 배임적 행위"라며 법무부 장관과 대검 수뇌부의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보수 성향의 한 시민단체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노 대행 등을 서울경찰청에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