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테테인먼트(카카오엔터)가 올해 상반기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유통하는 세계 각국 사이트 11개를 폐쇄했다고 오늘(19일) 밝혔다.
카카오엔터는 콘텐츠 불법 유통 플랫폼 운영자를 추적해 자발적 폐쇄를 유도하거나 법적인 대응을 하는 과정과 그 성과를 소개한 '제7차 불법유통 대응 백서'를 발간했다.
백서에 따르면 카카오엔터는 다양한 언어권·국가의 불법 유통 사이트를 정밀하게 감시하는 ▲ 불법 사이트 선별(Targeting) ▲ 운영자 신원 파악 및 추적(Tracing) ▲ 자발적 사이트 폐쇄(Takedown) 유도 및 법적 대응 등 이른바 TTT의 수순으로 불법 유통 조직에 대응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불법유통대응팀을 출범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130여 개 사이트 운영자를 특정하고, 이 가운데 29개가 문을 닫도록 했다.
대응 과정에서 공개 정보 수집(OSINT, Open-Source Intelligence)의 효과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OSINT는 도메인, 서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콘텐츠를 불법 유통하는 세력이 온라인상에 남긴 디지털 흔적을 분석하는 정보 수집 기법이다.
카카오엔터 측은 이렇게 확보한 정보를 토대로 인터폴과 공조하거나 중국, 베트남, 브라질, 스페인 등 외국 수사 당국 등과 협력해 불법 유통 세력을 압박하고 불법 콘텐츠를 삭제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대표 사례로는 영어권의 대형 웹툰·웹소설 불법 유통 사이트 '리퍼스캔스'의 운영 중단을 꼽았다.
리퍼스캔스는 월간 방문 수 약 1천만, 피해액이 약 6,769억 원으로 추산될 정도로 대규모 불법 유통이 이뤄진 곳이다.
카카오엔터는 또 중국, 영국, 베트남, 브라질, 스페인 등지 웹툰 불법 유통 사이트(앱) 운영자를 상대로 소송하거나 고소하는 등의 법적인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드라마 지식재산(IP)에 관한 감시 활동을 통해 불법 유통물 200여 건도 삭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