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겨울철 강설 대비 모의훈련 및 안전교육 실시
이번 훈련은 가산면 제설창고에서 진행했으며, 도로보수원과 읍면동 제설담당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겨울철 대설과 한파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시는 이번 훈련을 통해 제설 담당자들이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현장 대응체계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시는 2025~2026년 도로제...
▲ 사진=픽사베이 국정원은 반세기 넘게 북한 체제 비판 등을 담은 라디오·TV 방송을 북한에 송출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 대북방송까지 여러 채널이 운영됐고, 북한은 방해 전파를 쐈다.
북한이 이 '방해 전파' 10개 주파수의 송출을 22일 밤 10시부터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원이 이달 초부터 대북방송을 순차적으로 중단했다는 보도가 나온 다음 날.
정부 고위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상응 조치"라며, 국정원의 방송 중단은 지난해 1월, 북한의 대남방송 중단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 "북한이 방송을 재개하면 대응하겠지만, 우리가 먼저 하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직 2~3개 방해 전파는 남아있지만, 대북 확성기 중단 등 잇단 유화적 조치에 북한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게 정부 평가다.
하지만 대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정부가 북한 주민에 대한 정보 제공을 포기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의 우려 속에서도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당장 대화에 응할 거라 보지는 않으며, 정부도 급하게 추진하지는 않을 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