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 G20 재무장관 회의가 다음 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금리, 환율 등 다자간 금융 협력을 논의하는 회의체로, 최상목 부총리도 참석해 각국 재무장관과 연쇄 면담할 예정이다.
그런데 이 자리에서 '통상 문제'를 함께 논의하자고 미국이 요청해 온 것이다.
지금까지는 양국의 통상 라인이 협상을 맡아왔다.
다음 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해,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나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날 일정을 추진 중이었는데, 경제부총리와 관세 협상의 '키맨' 재무장관도 협상에 가세하자는 것이다.
협상의 격을 높여서 논의에 속도를 내자는 의도일 수 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 영국, 호주, 인도를 우선 협상국으로 꼽고 있다.
하지만, 5개국 모두 일종의 '눈치 싸움'을 하며 속도를 안 내려는 분위기다.
관세, 방위비 분담, 조선 협력, 알래스카 LNG 중 어느 선까지 논의할지, 협상장에 누가 배석할지 정부는 정해진 게 없다는 설명을 반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