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권성동 페이스북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어제 열린 3차 국정협의회가 30분 만에 결렬된 것과 관련해 “민주당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핑계 삼아 민생 논의를 원천 봉쇄했다”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오늘(1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형식적으로 잠시 자리만 채웠을 뿐 정략적 이유로 민생을 내팽개쳤다”면서 “내전 공포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밤샘 농성과 장외 집회를 서슴지 않으면서 국정협의회에 겨우 30분만을 할애했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국민연금 소득대체율과 관련해 “이전 회의에서 정부·여당은 42%를 주장했고, 민주당은 44~45%를 주장했다”면서 “그 중간인 43%로 하자라고 제가 제안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안정장치 도입 없는 소득대체율 43%를 절대 받을 수 없다고 우리 당 의원들이 반대했지만 ‘국가와 국민에게 도움이 된다’라는 판단하에 (소득대체율을) 0.5%만 내려달라고 사정을 했고 민주당은 긍정 검토를 하겠다고 약속을 했다”고 설명했다.
권 원내대표는 “그래서 어제 이 부분이 타결이 될 줄 알았는데, 민주당이 여전히 44%를 고집하는 바람에 모든 논의가 수포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장 중재안이 43.5%인데 제가 ‘0.5%만 더 낮춰달라’ ‘소득대체율 1%가 추후 300조 원 가까이 차이가 난다’고 말하며 내려달라고 사정을 했는데 민주당은 거절했다”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지금이라도 민주당이 민생과 경제를 위하고 미래세대를 위한다면 불충분하지만, 우리가 제안한 조건을 수용하라”면서 “나머지 문제는 연금특위를 구성해서 1년 시한으로 자동안정장치를 비롯해 다층 연금 제도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