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다가 포로로 붙잡힌 북한 병사들이 서방 언론과의 첫 인터뷰를 통해 영문도 모르고 전쟁터로 끌려온 경위 등을 증언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 시각 28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수용소에서 조사받으며 부상을 회복하고 있는 북한 병사 백모(21) 씨, 리모(26) 씨와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지난달 9일 전쟁터에서 생포된 이들은 모두 대남 공작을 담당하는 정찰총국 소속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실상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전장에 배치됐다.
백 씨는 의사 아버지와 판매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아들로, 북한에서는 특권 계층에 속하기 때문에 학교에 다니며 영어를 배우기도 했고, 축구 대표 선수로 뛰기도 했다.
교사는 러시아를 ‘동맹’이라고 가르쳤다고 백 씨는 말했다.
백 씨는 친구들과 스마트폰도 사용했지만, 북한 인트라넷에만 접속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 증언했다.
또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세계 여행을 꿈꿨다고 했다.
군 복무는 17세부터 시작됐으며, 2021년 5월 입대 날 “건강히 돌아오라”는 아버지의 당부가 부모와 나눈 마지막 대화였다.
소총수로서 훈련받으며 각종 건설 공사 현장 사역 등을 하던 백 씨가 러시아로 이동한 건 지난해 11월이었다.
영문도 모른 채 기차를 타고 극동지방에 내린 그에게는 러시아 군복과 읽을 수도 없는 키릴 문자로 쓰인 군인 신분증 등이 주어졌다.
백 씨는 “러시아로 가는 줄도 몰랐다. 도착한 뒤에야 알 수 있었다”고 했다.
방탄복과 러시아제 소총 등을 지급받은 그는 러시아 교관으로부터 살상용 드론의 운영 방식 등을 배운 뒤 다시 며칠 간의 여정을 거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 도착했다.
백 씨는 “듣기만 하던 전쟁 속으로 실제 들어오니 초현실적인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북한군 지휘관은 12월 31일 부대원들에게 파병된 병사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내용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메시지를 읽어줬다.
병사에게 주어진 의무에 따라, 백 씨는 읽어주는 내용을 받아적어야 했다.
우크라이나군의 도로를 막는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도보로 장애물을 나르던 백씨 부대에 포격과 드론 공격이 덮쳤다.
땅이 울리는 굉음과 함께 동료들이 쓰러지는 것을 바라보면서 백 씨도 나뒹굴었고,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은 백 씨는 북한군의 지침대로 자결하려 했지만, 의식을 잃었다.
우크라이나군이 백 씨를 발견한 것은 닷새 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