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0일 이런 내용의 '202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를 발표했다.
이 통계지표는 국내외 관련 기관에서 작성한 통계를 수집·재분류한 자료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3.1%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부터 3년째 역성장을 이어가다 4년 만에 반등한 것이다.
전기ㆍ가스ㆍ수도업(-4.7%)은 감소했지만 건설업(8.2%), 광공업(4.9%)이 성장을 주도했다.
북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40조 2천억 원이었다.
이는 남한 GDP 2,401조 2천억 원의 60분의 1 수준이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40조 9천억 원이었다.
1인당 GNI는 159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1.1% 늘었다.
남한(4,725만 원)과의 격차는 29.7배로 전년(31.8배)보다 격차가 다소 줄었다.
북한의 식량 작물 생산량은 482만 톤으로 1년 전보다 6.9%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국경통제가 완화되면서 북한의 성장률이 증가로 돌아섰다"며 "수입량이 많은 한국과 달리, 곡물 자급률이 절대적인 구조에서 식량 생산량이 증가한 점도 눈길을 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북한의 무역총액은 27억 7천만 달러로 전년보다 74.6% 늘었다.
남한(1조 2,748억 달러)과의 격차는 460배로 전년(892배)의 절반 수준으로 좁혀졌다.
수출이 3억 3천만 달러, 수입이 24억 4천만 달러로 각각 104.4%, 71.3% 늘었다.
최대 수출 품목은 '조제우모와 솜털 및 그 제품'으로 전체의 51.6%에 달했다.
가발·신발·모자 등의 경공업 품목은 2022년 1,170만 달러에서 지난해 1억 6,766만 달러로 무려 1,332% 증가했다.
최대 수입품목은 '광물성연료, 광물유'로 18.4%를 차지했다.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비중은 98.3%에 달했는데, 전년에 96.7%였던 것과 비교하면 중국 의존도는 더 높아졌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2,578만 명으로 1년 전보다 9만 명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