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오늘(6일) 발표한 '2024년 가을철 기후특성'에 따르면, 올가을 전국 평균기온은 16.8℃로 평년보다 2.7℃ 높아 1973년 관측 이후 가장 높았다.
9월까지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의 영향이 이어지며 서울에선 1948년 이후 76년 만에 9월 폭염이, 춘천에선 1966년 관측 이후 첫 9월 열대야가 나타났다.
고온 현상이 11월 중순까지 계속돼 올가을 첫서리와 첫얼음 소식도 평년보다 늦었다.
서울의 첫서리는 평년보다 9일 늦었고, 첫얼음은 4일, 첫눈은 6일 늦게 관측됐다.
올가을 전국 평균 강수량은 415.7mm로 평년(266.1mm) 수준을 웃돌아 관측 이후 5번째로 많았다.
특히 11월 하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대설특보 속에 첫눈이 폭설로 쏟아졌다.
11월 27일 수원에 쌓인 눈은 32.3cm, 인천 19.4cm, 서울은 19.3cm를 기록해 11월 적설량(일최심신적설)으론 관측 이후 가장 많았다.
한반도 북쪽에 정체한 기압골이 영하 30℃ 이하의 매우 찬 공기를 끌어 내렸고, 따뜻한 서해상에서 수증기가 더해지며 눈구름이 폭발적으로 발달했다.
올가을 서해와 남해, 동해 등 우리나라 전 해역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23.6℃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보다 2.5℃ 높아 역대 가장 뜨거웠다.
기상청은 올가을 내내 한반도 주변 바다를 포함한 북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4℃ 높았다며, 이례적인 폭염과 폭설의 원인으로 뜨거운 바다를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