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요 언론이 한국에서 벌어진 비상계엄 사태를 집중 조명하는 가운데 오늘(5일) 조간신문도 1면 머리기사 등을 통해 이번 사안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마이니치신문, 산케이신문은 일제히 계엄 사태를 비판하고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한일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내용을 담은 사설을 실었다.
요미우리는 사설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 정체를 계엄령이라는 강권 수법으로 타파하려 했지만, 도리어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 결과가 됐다”며 “북한의 강권 체제를 비난해 지유 질서를 지킨다고 말하면서 국회에 군을 투입하는 등 강권을 휘두른 것은 본말전도”라고 적었다.
이어 “한국 정치 혼란이 한일관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다”며 일본과 관계 개선에 적극적이었던 윤 대통령이 구심력을 더 잃으면 한일 협력, 한미일 연계에도 지장을 준다고 짚었다.
또 “한국 혼란의 장기화는 북한을 이롭게만 하므로 (북한에) 빈틈을 주지 않도록 사태를 조기에 수습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사히도 사설에서 “민주 국가에서 있어서는 안 될 사태가 한국에서 일어났다”며 “윤 대통령은 북한과 긴장이 지속되는 한반도 정세에도 악영향을 끼칠 어리석은 행동을 했다고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주목받은 것은 여야 의원들이 계엄군이 다가오는 가운데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이를 지원한 시민의 존재”라며 “권력의 폭거를 멈춘 민주주의의 저력을 평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계엄 사태에 따른 한일관계 영향을 분석한 별도 기사에서는 “동맹과 다국간 협력을 경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체제에서 한미일 협력이 지속될지가 애초에 불투명했다”며 “윤 대통령이 정치적 위기에 빠져 (한미일 협력을) 전망하기 더욱 어려워졌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는 이날 사설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퇴임으로 한미일 협력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한일이 지금까지 이상으로 보조를 맞춰 갈 필요가 있다. 한국 지도자에게 혼란의 조기 수습을 요구하고자 한다”고 제언했다.
교도통신과 NHK 등 일본 언론은 한국 야당들이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해 본회의에 보고됐다는 사실도 신속하게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