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4월, 김정은 총비서를 찬양하는 ‘친근한 어버이’를 발표한 이후 거리마다 이 노래가 울려 퍼지고 있다.
최근 공원에서 민요에 맞춰 춤추던 70, 80대 노인들에까지 ‘친근한 어버이’를 틀고 춤추라 강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처음 공개된 노래 ‘친근한 어버이’는 김정은 총비서를 “위대한 령도자”, “친근한 어버이”로 칭하는 내용의 곡으로 대표적인 김정은 찬양노래다. 발표 이후 매주 학습, 강연회 시작에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고 방송차가 거리를 돌며 하루 종일 노래를 튼다.
소식통은 “지난 5월 초, 김기남(전 당선전선동비서) 사망에 맞춰 3일을 쉰 것을 빼고는 4월부터 지금까지 매일 귀에 못이 박히게 이 노래를 듣고 있다”고 밝혔다.
또 “요즘은 중앙의 지시에 따라 도내의 각 공장, 기업소, 학교, 단위, 인민반에서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기회가 될 때마다 이 노래를 부르게 한다”고 덧붙였다.
양강도 혜산시에는 연로 보장(은퇴)을 받은 노인들이 모여서 여가를 즐기는 장소가 있다. 일명 ‘양강도 역사교양마당’으로 불리는 이 공원은 주변의 은퇴한 노인들이 모여서 증폭기에 민요를 틀고 노래를 따라 부르며, 춤을 추고 운동을 하는 여가 장소다.
소식통은 “며칠 전 역사관리소 관리원이 공원서 울리는 민요를 꺼버리고 노인들에게 ‘친근한 어버이’를 틀도록 지시했다”면서 “증폭기를 통해 울리는 민요에 따라 추던 춤을 멈추고 원수님(김정은)을 칭송하며 춤을 추라고 강제한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 정도면 70대, 80대 노인들이 아들뻘인 40대의 김정은을 ‘친근한 어버이’로 부를 것을 강요받고 있는 셈”이라면서 “이제는 날이 밝으면 모이던 노인들의 모습을 더는 찾아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소식통은 “선대 김일성과 김정일 때도 당국이 나서서 보급하는 대표적인 찬양 노래가 있었지만 그때보다 지금이 더 강제적으로 보급하는 것 같다”면서 “당시에도 가끔 방송차에서 노래를 틀긴 했지만 지금처럼 학습, 강연회 시작마다 매번 노래를 부르게 하거나 노인들에까지 강요하진 않았다”고 말했다.
김일성 시대에는 ‘밤이 퍽 깊었습니다’, 김정일 시대에는 ‘쪽잠과 줴기밥’이 대표적인 찬양곡으로 볼 수 있다.
또 “미공급 시기에는 국경과 도시를 넘나들며 생계형 장사라도 할 수 있었지만 장마당 장사도 막고 단속과 통제가 그 어느 때보다 강화된 요즘, 주민들의 불만은 가중되고 반대로 노랫소리는 더 높다”고 덧붙였다.
‘친근한 어버이’는 2021년 광명성절 기념 공연에서 선보인 김정일 찬양곡 '친근한 이름'을 개사한 것으로 2024년 4월 16일 평양 화성지구 2단계 준공식 보도 영상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