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은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와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 ’홍재일기‘, ’부평 미쓰비시 줄사택‘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했다고 오늘(8일) 밝혔다.
이왕직 아악부의 악보는 조선 시대 궁중음악 기관인 장악원을 계승한 이왕직 아악부에서 1920~1930년대 연주된 조선 시대 궁중음악 등을 주요 악기별로 편찬한 악보다.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는 총 25곡이 수록됐으며, 변화된 연주법과 시김새(꾸밈음), 선율, 장단 등이 나타나 아악부의 궁중음악이 체계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다.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는 궁중음악을 서양 오선보에 기록하는 등 근대 서구음악 체계를 인식하고, 시도하는 과정이 담겼다.
국가유산청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국악원은 등록을 기념해 내일(9일)부터 11월 24일까지 국악박물관에서 기획 전시 ’기록으로 남은 우리 음악‘을 개최한다.
이와 함께 국가문화유산으로 등록된 홍재일기는 전북 부안군 주산면 홍해 마을에 살던 기해현이 1866년부터 약 45년간 쓴 일기로, 부안 지방의 기후와 자연 재해, 미곡가격의 변동, 의병들의 활동과 동학농민전쟁의 실상 등이 기록돼 있다.
또, 부평 미쓰비시 줄사택은 일제강점기 미쓰비시 제강에 동원된 한국인 노동자들이 합숙생활을 하던 곳으로 역사 와 주거사적 측면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