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제 거래 성적표인 경상수지가 지난 4월 1년 만에 적자를 냈다.
수출이 탄탄한 호조를 이어갔지만, 수입이 증가 전환하고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도 일시적으로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이 크다.
상품수지 흑자는 51억 천만 달러로 전달보다 30억 달러가량 줄었다.
에너지 수입 가격이 오른 데다 IT품목 등의 수입도 늘어난 영향이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상품수지 흑자 폭이 줄어든 가운데, 기업들의 외국인 배당이 4월에 몰렸던 것도 경상수지 적자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에 대한 배당이 늘며 4월 본원소득수지는 33억 7천만 달러 적자 전환했다.
다만 서비스수지 적자는 전달보다 줄어든 16억 6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4월 경상수지가 적자 전환했지만, 5월 경상수지는 다시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