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항공절'을 맞아 공군 주요시설을 둘러보는 모습이다.
그 옆에, 딸 주애가 김 위원장과 꼭 닮은 차림으로 서 있는데, 사진 구도는 이례적으로 주애에게 맞춰져 있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김 위원장과 옷을 맞춰 입고, 사진 정면에 나서 있는 모습에 비춰, 김주애로의 4대 세습 가능성을 열어놓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딸 주애를 이 세습 과정에서 '조기 등판' 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주애를 후계자로 볼 수 있는 여러 정황도 언급했다.
지금까지 김주애가 공식 등장한 19번 가운데 16번이 군사적 활동과 연관돼 있는데, 이는 일반적 행보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또 올해 들어 김주애가 해·공군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군 사령관들이 거수경례를 한 모습 역시 근거로 꼽았다.
특히 북한 정권 수립일인 지난 9.9절 열병식 당시 주석단 정중앙에 앉는가 하면, 군부 핵심인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이 김주애에게 무릎을 꿇고 이야기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2021년 8차 당 대회에서 '총비서' 바로 아래 직함으로 신설된 '제1비서'도, 김주애를 염두에 둔 권력 승계를 위한 제도적 장치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북한이 유교적, 가부장적 사회인 만큼 여성이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반론도 많다며, 다만 북한이 어느 정도 유교 사회인지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