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2030 엑스포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돌입한 건 지난해 여름이다.
유치 신청도 전에 이미 지지표 확보에 나선 사우디보다 1년이나 늦었다.
정부는 이에 민관 차원의 총력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이전까지 따로 이뤄지던 정부와 민간 유치 활동을 '민관합동 위원회'로 통합하면서, '코리아 원 팀'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은 정상외교를 통해 이를 전폭적으로 뒷받침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국제박람회기구 총회에서는 직접 발표에 나섰고,
특히, 다자외교 무대를 적극 활용했습니다.
지난 9월 유엔총회 당시에는 4박 6일 동안 40명이 넘는 정상과 연쇄 회담을 갖고 부산 지지를 호소했다.
대통령이 가지 못한 곳엔 한덕수 총리나 주요 부처 장관들이 어김없이 특사로 파견됐다.
이번 유치 활동을 통해 각국 정상들과 우의를 다지고 국가 간 협력 관계를 넓혔다는 점도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 외교가 지향하는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의 새 장을 열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국제 사회에 약속한 내용을 반드시 지켜, 소중한 외교 자산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