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밤 중국 내 탈북민들이 대규모로 강제 북송됐다는 사실이 국내 북한 인권단체 등을 통해 전해지면서 추가 북송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러 북한 인권단체 관계자들과 관련 연구자들이 강제 북송 배경을 짚어보고, 추가 북송을 막을 방법을 찾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WG) 대표는 24일에 열린 '재중 탈북민 강제북송' 컨퍼런스의 첫 번째 연사로 나서, "북한이 지난 8월 말 국경 봉쇄 해제를 공식화하기 전까지, 중국은 변방대 구류장들과 교도소 등에 총 2천여 명의 탈북민과 북한 국적 수감자를 억류하고 있었다"며 "그 중 항저우 아시안게임 전후 강제 북송된 탈북민은 총 620여 명"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9일 북송됐다는 탈북민들은 620여 명 중에 500명 정도이고, 그 이전인 8월 29일과 9월 18일에 각각 80명, 40명 정도의 강제 북송이 있었다는게 이 대표의 주장이다. 이 대표는 탈북민 입국을 지원하는 활동가에게 관련 정보를 얻어 이를 취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중국 교도소들에 남아있는 북한 국적의 수감자는 천여 명"이라며, "이들은 다양한 혐의로 인해 중국 당국이 직접 처벌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개인마다 형기를 마쳐야 북한으로 송환될 인원들이고, 또 기존에 중국 변방대에 구금돼 있던 탈북민 대부분은 지난 9일 일거에 북송된 만큼 한동안은 (대규모 북송이) 눈에 띄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다만 현재도 중국 공안이 탈북민 체포를 고강도로 진행할 경우, 중국 변방대 구류장에 탈북민들이 계속 수감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대규모 북송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