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동구, 취약계층에 혹한 대비 겨울나기 꾸러미 키트 500세대 지원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뉴스21일간=임정훈]울산광역시 동구청(동구청장 김종훈)과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관장 한영섭)은 11월 27일 오후 2시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 1층 로비에서 울산 동구지 역 기후 위기 취약계층 500세대를 대상으로 방한용품, 생필품, 식료품 등이 담긴 ‘마음 모아 온기 담아 안녕(安寧) 키트’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 사진=연합뉴스 /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 홈페이지 캡처겨울철 남극 해빙(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이 역대 최소 수준을 기록했다고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가 현지 시각 25일 밝혔다.
국립빙설자료센터는 올겨울 남극 해빙 면적은 지난 10일 천696만㎢로, 올해 최대치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는 1979년 위성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기존 최저치인 1986년 겨울보다 약 100만㎢나 적다.
다만 이번에 발표된 것은 예비수치로, 올겨울 기후 상태에 따라 얼음 면적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센터 측은 올해 얼음 상태의 추정 원인, 특징 등을 포함해 전체 분석을음달 초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남극 해빙 감소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해빙 위에서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르는 펭귄과 같은 동물들에게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해빙이 줄면 다시 기후변화가 악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빙은 태양의 빛 에너지를 대기로 반사하고 인근 물 온도를 식혀주는 등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해빙이 사라지면 바다는 더 많은 빛을 흡수하고 따듯해진 바다는 더 많은 얼음을 녹이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반구 해빙은 겨울이 끝나가는 9월에 최고조에 달한다. 여름이 끝나가는 2∼3월에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여름철 남극 해빙 면적도 올 2월에 최저치를 기록해 2022년에 세운 종전 기록을 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