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전체 취업자 가운데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보건·복지 분야 취업자 비중은 빠르게 상승하면서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올해 2분기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5만 8,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859만 3,000명) 가운데 15.5%를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인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9차 이전 산업분류 기준 통계까지 포함하면 1975년 2분기 15.3% 이후 가장 낮다.
산업화 시대에 20%를 웃돌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하다, 2021년 2분기(15.9%)에 처음으로 15%대로 떨어진 뒤 반등하지 못하고 15~16% 수준에 머물렀다.
월별로 살펴보면, 전년 동월 대비 전체 취업자 수는 매달 늘고 있지만,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1월부터 8개월 연속 줄었다.
한편 올해 2분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은 10.1%를 기록하며,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2013년 1분기 보건·복지 취업자 수는 146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6%를 차지했는데, 올해 2분기에는 2배 수준인 289만 명, 10.1%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