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한-아세안(ASEAN, 동남아 국가 연합) 협력 강화와 함께, 한미일 3국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 전략을 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오늘(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갖고 "한-아세안의 공동 번영을 향해 함께 나아가자"며 이 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에서 지난해 발표한 '한-아세안 연대 구상'을 언급하며 '아세안의 관점'에 대한 한국의 지지를 재확인하고, "'한-아세안 연대 구상'이 8개의 중점 과제를 식별하고, 협력의 외연을 확장해 온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했다.
한-아세안의 협력 분야로는 안보에서 방위산업 협력과 사이버·해양안보 협력, 경제에서는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과 메콩강 4개국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기여, 글로벌 위기 대응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지원과 감염병 대응 역량 지원 등을 꼽았다.
또 "지난 8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협력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면서 "한미일 3국은 아세안이 주도하는 지역 구조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각국의 인태(인도-태평양) 전략을 조율하고 신규 협력 분야를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례 '한미일 인도-태평양 대화'를 발족하고, 아세안과 태평양 도서국의 해양안보 역량을 지원하는 '한미일 해양안보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출범시켰다"고 소개했다.
북한 핵·미사일 개발은 아세안 국가들에도 실질적이자 직접적인 위협이라며,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단호한 공동 대응 필요성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의 동남아 국가 정상들에게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지지도 요청했다.
윤 대통령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를 통해 우리의 발전 경험을 아세안을 포함한 많은 해양국과 많은 이웃 나라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인류가 직면한 도전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산이 다시 한번 인태 지역과 전 세계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