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정보와 기술을 탈취해온 북한 해커 조직 '김수키'에 대해 합동 보안 권고문을 발표했다.
'김수키'는 북한 정찰총국 산하 조직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 사이버 공격을 통해 첩보를 수집해 북한 정권에 제공해 왔다.
북한 해커 조직들은 무기 개발, 인공위성・우주 관련 첨단 기술을 절취해 북한의 위성 개발에도 직, 간접적인 관여를 해왔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이들은 신뢰 관계를 이용해 사람을 속여 비밀 정보를 획득하는 기법으로 사이버 공격을 하고, 특정인을 속이기 위해 제작된 이메일을 활용해 개인 정보를 훔쳐왔다.
언론사, 대학, 정부기관 등을 사칭해 외교ㆍ통일ㆍ국방 주요 인물에게 접근해 이메일에 첨부한 악성 프로그램을 통해 해킹하는 방식이다.
한미 정부는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이메일을 주의하고 강력한 암호 설정ㆍ다단계 인증 등 계정 보호 조치를 하라고 권고했다.
또 북한의 사이버 공격 대상이 됐다고 판단되면 국정원, 경찰청 등에 신고하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북한의 불법 사이버활동에 대한 한미의 단호하고 지속적인 대응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합동 보안 권고문 발표와 함께 우리 정부는 이 해커 조직을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대북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이번 제재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8번째 대북 독자제재 조치로,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후 개인 43명과 기관 45개를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