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일본 정부가 사용하는 용어인 ‘처리수’로 변경해 부르는 방안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일관되게 ‘오염수’라고 부르고 있고 ‘처리수’로 변경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가 난 후쿠시만 제1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는 도쿄전력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해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는 이 물이 정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을 내세워 ‘처리수’라 부르고 있다.
임 대변인은 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파견과 관련해 “용어나 표현의 차이보다는 IAEA 검증과는 별개로 우리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전문가들로 구성된 현장 시찰단을 파견하게 된 것은 그 자체가 매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12일) 원안위 등 관계부처도 참석하는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우리 시찰단이 오염수 정화처리시설, 해양방출 관련 설비 운용 방식 등 과학적이고 기술적 안정성 분석에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본 측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협의를 통해 시찰단 활동과 범위 등 종합적인 사항을 협의하게 된다”며 “앞으로도 화상회의 등을 통해 계속 소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외교부는 이번 시찰단은 타이완의 시찰단 파견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 규모 등을 단순 비교할 수 없고, 시찰단 구성 등은 내부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에 따른 여행경보 단계 등 변화 여부에 대해서는 입국규제 방역과 관련해 별도 조치를 하고 있지 않다며, 앞으로 필요한 조치가 있는지 확인해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