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 2025 지방자치콘텐츠대상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 수상
보령시는 2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에서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방자치TV,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인문콘텐츠학회가 공동 주관하고 행정안전부 및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등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AI로 여는 지방시대, 지역 성장이 ...
▲ 사진=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이 법무부가 공직자 인사검증까지 담당하게 되면서 과도하게 권한이 집중되는 데 대한 논란에 “미국이 그렇게 한다”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오늘(2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비서실은 정책을 위주로 해야지, 어떤 사람에 대한 비위 정보를 캐는 것은 안 하는 게 맞다”며 인사검증 권한을 법무부로 넘긴 취지를 설명했다.
윤 대통령이 법무부 인사 검증에 대해 언급한 건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그래서 내가 (대통령실) 민정수석실을 없앤 것이다. 옛날 특감반(특별감찰반)처럼 공직자의 비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대통령실이) 안 하고, 사정(司正)은 그냥 사정기관이 알아서 하는 것”이라며 “대통령 비서실은 사정의 컨트롤타워 역할은 안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직 후보자에 대한 비위나 비위 의혹에 관한 정보 수집도 (대통령실이) 안 한다”며 “대통령 비서실이라는 데는 직접 정보 수집 업무를 안 하고 (다른 기관에서) 받아서 해야 한다. 그래야 자료가 축적될 수도 있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윤 대통령이 언급한 '미국 방식'은 백악관 법률고문실에서 공직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개시한 후 미 법무부 산하 FBI(연방수사국)에 1차 검증을 의뢰하고 결과를 통보하는 시스템을 언급한 것이다.
앞서 법무부는 과거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전담했던 공직자 검증 업무를 수행할 인사정보관리단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대해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권한 남용이 우려된다’, ‘위법 소지가 있다’는 등의 비판을 내놓고 있다.